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, 정치부 이세진 기자 나와있습니다. <br> <br>Q1. 현직 대통령 구속 사상 초유입니다. <br><br>맞습니다. <br> <br>무엇보다 국면이 완전히 다른 판입니다. <br> <br>구속은 쉽게 말해 물리적으로 교정시설에서 묶인 몸이 되는 겁니다. <br><br>만남도, 논의도, 대화도 바깥보다 자유롭지 못합니다. <br> <br>수사나 탄핵심판에 대응하며 쓸 카드가 대통령 입장에서 제한적인 겁니다. <br> <br>Q2. 대응 카드라는 게 제한적이다? 설명이 좀 더 가능합니까? <br><br>관저 대치국면이나 구속 국면이나, 대통령 측이 가장 공들이는 카드가 '여론전'인 건 똑같습니다.<br><br>구속 가능성도 염두에 뒀고요. <br> <br>다만 돌이켜보면, 관저 대치 국면에서 대통령이 산책을 하며 언론이 모습을 보인다거나, 이런 모든 것들이 일종의 여론전을 위해 쓸 수 있는 카드였다면 이제는 쉽지 않다는 거죠. <br> <br>Q3. 구체적으로 어떤 것들을 좀 생각해볼 수 있나요? <br><br>여론 전의 본질은 이런 겁니다. <br> <br>대통령은 피해자이자 약자다, 또 하나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 다른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다. 이거요.<br><br>대통령 측이 예고한 구속적부심도 사실상 여론전의 일환입니다.<br><br>법원이 법원의 결정을 뒤집어 줄 가능성을 떠나, 그 절차 만으로 앞서 말한 두가지 이미지를 여론에 보일 수 있으니까요. <br> <br>탄핵심판에 더 적극 임할 가능성도 있습니다. <br> <br>구속으로 그 창구가 협소해진 만큼 헌법재판소를 여론전의 장으로 활용할 가능성도 점쳐집니다.<br> <br>Q4. 오늘 나온 대통령의 옥중 메시지도 여론전의 일환이겠죠? <br><br>맞습니다. <br> <br>특히 첫 메시지가 지지자들의 법원 난입 사태였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. <br> <br>'약자' '피해자' '불공정한 대우 받는 대통령' 여론전의 핵심 이미지라고 보는데, 어제 상황은 그런 이미지 부각에 전혀 도움이 안 되는 돌발변수라는 게 여권내 시각입니다. <br> <br>"서부지법에서 발생한 상황을 전해 듣고 크게 놀라며 안타까워했다" 그동안 공들여온 여론 조성의 공력에 독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진화 성격의 메시지로 보인다는 게 여권 시각입니다. <br> <br>Q4. 향후에도 옥중 메시지 계속 되겠죠? <br><br>대통령 본인의 직접 메시지 만큼 여론전에 효과적인 카드가 없다고 생각할 겁니다. <br> <br>실제 주요 국면마다 대통령이 직접 등판했고요. <br> <br>지난 15일, 체포 당일 "법이 무너졌다"고 했고, 이틀 뒤였죠, 체포영장 청구 당일인 17일엔 첫 옥중편지를 보냈고요. <br> <br>당시 지지자들을 향해 "뜨거운 애국심에 감사한다"고 했었죠.<br><br>친필 편지나, 체포와 구속 전 미리 준비해놨던 영상 메시지 같은 것도 배제할 수 없겠죠. <br><br>다만 공수처가 조금 전 윤 대통령에 대해 피의자 접견 금지 결정서를 서울 구치소에 보냈습니다. <br> <br>변호인단을 제외한 다른 이들과의 접견을 제한하는 겁니다. <br> <br>Q5. 대통령의 이런 여론전에 대해 곱게만 보지 않는 시선도 있어요. <br><br>아무리 억울해도 대통령 스스로가 사법체계를 부정한다는 지적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걸 대통령 측도 의식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체포영장 집행 때도 수사를 인정하는 건 아니다, <br> <br>체포적부심이 기각된 것도 반발했고, 구속영장 발부도 반법치주의의 극치라 하고요.<br> <br>사법시스템 자체를 부정하는 대통령의 태도가 국민들에게 얼마나 지지 받을 수 있겠느냐는 거죠. <br> <br>공수처가 대통령 측의 법치주의 부정에 유감이라고 표현한 것도 이런 이유일 겁니다. <br><br>Q6. 야당도 어쨌든 대통령의 거의 유일한 카드가 여론전이라는 걸 알잖아요. 그냥 보고만 있지는 않을 것이고요. <br><br>그래서 야당도 대통령의 이런 태도를 계속 부각하는 겁니다.<br><br>"헌법, 사법 시스템을 부정하고 헌정질서를 문란하게 한다"고 지적했습니다.<br> <br>더군다나 예상치 못한 대통령 지지자들 법원 난입 사태를 그동안의 여론 뒤집을 반전 카드로 부각할 심산입니다. <br> <br>당장 내일부터 이 난입사태를 부각하기 위해 각종 상임위원회가 가동됩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아는기자 정치부 이세진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이세진 기자 jinlee@ichannela.com